교육기간 | 차시 | 교강사 | 정원 |
---|---|---|---|
2개월 | 41H - 초급13 | 천미현 | 3,000명 |
교육비 표준훈련비 |
218,000원 121,770원 |
환급비 |
우선지원기업 : 109,593원 대 기 업 : 97,416원 1000명 이상 : 48,708원 |
수료기준 (가중평균 60점 이상) | |||
진도율 | 중간평가 | 시험 | 과제 |
80%이상 | 30% 반영 | 70% 반영 | - |
NCS코드
과정소개
임상심리사 자격증 원탑 김도연교수가 짚어주는 임상심리사 2급 필기 준비의 모든 것!
임상분야는 인문학과 사회학 연구 이론을 심리 부적응 및 진단 치료에 적용하는 영역입니다. 즉, 사회적인 내용을 토대로 더 정확하게 내담자의 마음을 돌아볼 수 있습니다. 임상심리사 2급 자격시험은 기초적인 심리검사, 심리치료, 상담, 심리재활 및 교육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유무를 인증하는 것으로서, 2002년 국가기술자격증으로 신설되어 매년 그 응시인원이 증가하고 있습니다.
이론 교육도 실전대비와 함께 진행할 수 있도록 최근 5년 이내의 기출문제를 분석하여 정립한 타당하고 실제적인 이론과 설명이 필요합니다. 본 과정은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과목에서 자주 출제되는 내용과 유형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.
학습대상
'1. 임상심리 관련 실무 종사자로 임상심리사 자격증이 필요한 실무자
2. 병원, 심리상담기관, 학교, 재활센터, 사회복지기관, 관련 연구소 등 임직원
학습목표
1. 국가공인자격증 임상심리사 2급 필기 시험을 위한 분야별(심리학개론, 이상심리학, 심리검사, 임상심리학, 심리상담) 이론적 개념을 정립할 수 있다.
2. 필기 분야의 이론적 개념을 바탕으로 임상심리사 2급 필기시험 기출문제를 풀 수 있다.
3. 임상심리사에게 필요한 이론적 배경을 익혀 실무에 반영할 수 있다.
강사정보
교강사 소개
내용전문가 소개
김도연학습목차
회차 | 내용 |
---|---|
1회차 | 심리학의 연구방법 |
2회차 | 뇌와 신경계, 동기와 정서 |
3회차 | 학습 |
4회차 | 기억 |
5회차 | 발달 |
6회차 | 성격(1) |
7회차 | 성격(2) |
8회차 | 사회심리학 |
9회차 | 이상심리학의 기본개념, 신경발달장애 |
10회차 |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, 양극성 및 관련 장애 |
11회차 | 우울장애, 불안장애 |
12회차 | 강박 및 관련 장애,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|
13회차 | 해리장애,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, 급식 및 섭식장애 |
14회차 | 성과 관련된 장애, 파괴적, 충동조절 및 품행장애 |
15회차 | 물질 관련 및 중독장애, 신경인지장애 |
16회차 | 성격장애 |
17회차 | 심리평가의 이해 |
18회차 | 한국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 |
19회차 |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|
20회차 | 객관적 검사(1) : MMPI-2 |
21회차 | 객관적 검사(2) : PAI, TCI, 16PF, NEO-PI-R |
22회차 | 투사적 검사 |
23회차 | 아동, 청소년 검사 |
24회차 | 신경심리검사 |
25회차 | 임상심리학의 개관 |
26회차 | 임상심리학의 연구방법 |
27회차 | 임상진단과 면접 |
28회차 | 주요 이론적 모형들 |
29회차 | 현대의 심리평가 |
30회차 | 심리치료(1) : 정신역동 심리치료 |
31회차 | 심리치료(2) : 행동 및 인지행동 치료 |
32회차 | 심리치료(3) : 주요 현상학적 심리치료 및 기타치료 |
33회차 | 심리상담의 기초 |
34회차 | 심리상담 방법과 과정 |
35회차 | 집단상담 |
36회차 | 가족상담의 이해 |
37회차 | 가족상담 이론 |
38회차 | 중독상담 |
39회차 | 특수 문제별 상담(1) : 성 상담 및 자살위기 상담 |
40회차 | 특수 문제별 상담(2) : 학습문제 상담, 진로상담, 비행청소년 상담 |
교재정보
교재명 : 임상심리사 2급 필기 [ISBN: 9788999728235]
교재비 : 28000원
자격증 소개
1. 임상심리사?
임상심리사는 인간의 심리적 건강 및 효과적인 적응을 다루어 궁극적으로는 심신의 건강 증진을 돕고, 심리적 장애가 있는 사람에게 심리평가와 심리검사, 개인 및 집단 심리상담, 심리재활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, 심리학적 교육, 심리학적 지식을 응용해 자문을 한다. 임상심리사는 주로 심리상담에서 인지, 정서, 행동적인 심리상담을 하지만 정신과의사들이 행하는 약물치료는 하지 않는다. 정신과병원, 심리상담기관, 사회복지시설 및 재활센터에서 주로 근무하며 개인이 혹은 여러 명이 모여 심리상담센터를 개업하거나 운영할 수 있다. 이 외에도 사회복지기관, 학교, 병원의 재활의학과나 신경과, 심리건강 관련 연구소 등 다양한 사회기관에 진출할 수 있다.
2. 수행직무
국민의 심리적 건강과 적응을 위해 기초적인 심리평가, 심리검사, 심리치료상담, 심리재활, 및 심리교육 등의 업무를
주로 수행하며, 임상심리사 1급의 업무를 보조하는 직무
3. 진로 및 전망
- 관련직업 : 임상심리사, 심리치료사
- 정신과병원, 심리상담기관, 사회복지시설 및 재활센터에서 근무 가능
- 사회복지기관, 학교, 병원의 재활의학과 등 다양한 사회기관에 진출
4. 응시조건
- 임상심리와 관련하여 1년 이상 실습수련을 받거나,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로서 대학졸업자 및 졸업 예정자.
시험일정
시험정보
1. 시 행 처 : 한국산업인력공단
2. 응시자격
- 임상심리와 관련하여 1년이상 실습수련을 받은자 또는 2년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로 서 대학졸업자 및 졸업예정자 등
3. 시험과목
구분 |
시험과목 |
유형 |
문항 |
응시시간 |
필기시험 |
심리학개론 |
객관식 |
과목당 20문항 |
총 150분 (2시간 30분) |
이상심리학 |
||||
심리검사 |
||||
임상심리학 |
||||
심리상담 |
||||
실기시험 |
임상실무 |
필답형 |
20문제 내외 |
3시간 |
4. 합격기준
- 필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,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
- 실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60점 이상
우편번호 검색x