교육기간 | 차시 | 교강사 | 정원 |
---|---|---|---|
2개월 | 81H - 중급13 | 조현행 | 3,000명 |
교육비 표준훈련비 |
270,000원 240,570원 |
환급비 |
우선지원기업 : 216,513원 대 기 업 : 192,456원 1000명 이상 : 96,228원 |
수료기준 (가중평균 60점 이상) | |||
진도율 | 중간평가 | 시험 | 과제 |
80%이상 | 30% 반영 | 70% 반영 | - |
NCS코드
과정소개
학습대상
학습목표
강사정보
교강사 소개
내용전문가 소개
조현행학습목차
회차 | 내용 |
---|---|
1회차 | 오리엔테이션 및 음영분석 |
2회차 | 태양궤적도 |
3회차 | 그림자배율 |
4회차 | 이격거리 |
5회차 | 발전량 산출 |
6회차 | 개방전압 |
7회차 | 태양전지 모듈 |
8회차 | 기능별 태양광 모듈 |
9회차 | 태양광 인버터 선정 |
10회차 | 고전압 방식 |
11회차 | 태양광의 유효 이용에 관하여 |
12회차 | CIS/CIGS 태양전지의 특성 |
13회차 | 태양광발전시스템 구성요소 개요 |
14회차 | 실리콘 태양전지 |
15회차 | 화합물 태양전지 |
16회차 | 모듈의 구조 |
17회차 | 모듈의 건축물 설치유형 |
18회차 | 전력변환장치 |
19회차 | 저압계통연계시 |
20회차 | 단독운전방지기능 |
21회차 | 계통연계보조장치 |
22회차 | 계통연계시스템용 축전지용량 |
23회차 | 전력저장장치의 기본성능 확인 |
24회차 | 역류방지소자 |
25회차 | 교류측 기기 |
26회차 | 뇌보호영역 |
27회차 | 일조량(일사량)의 특징 |
28회차 | 설치가능여부조사 |
29회차 | 국토이용에 관한 법령 검토 |
30회차 | 안전관리 업무의 대행규모 |
31회차 | 전기공사업법 시행령 |
32회차 | 개발행위허가의 기준 등 |
33회차 |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|
34회차 |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등 |
35회차 |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 비율 등 |
36회차 |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설비의 지원 등에 관한 지침 |
37회차 | 태양광발전 사업계획서 작성 |
38회차 | 태양광발전 경제성 분석 |
39회차 | 경제성 분석 |
40회차 | 전기(발전)사업의 경제성 분석 |
41회차 | 태양광 발전 토목설계 |
42회차 | 지반조사방법 |
43회차 | 설계하중의 개념 |
44회차 | 구조물 설계도서 |
45회차 | 고정하중 |
46회차 | 구조물 형식 |
47회차 | 콘크리트 기초 |
48회차 | 태양광 발전 구조물 설계검토 |
49회차 | 태양전지 모듈 지지물 |
50회차 | 전기기계기구의 열적강도 |
51회차 | 변압기 전로의 절연내력 |
52회차 | 고압 및 특고압전로중의 과전류차단기의 시설 |
53회차 | 저압연접인입선의 시설 |
54회차 | 내선규정 등 |
55회차 | 사람이 쉽게 접촉될 우려가 있는 장소 |
56회차 | 케이블 트랜치 배선 |
57회차 | 뇌전자기 임펄스 |
58회차 | 접지시스템 |
59회차 | 태양광발전 모듈 배치 설계 |
60회차 | NOCT에 의한 모듈의 표면온도계산 |
61회차 | 태양광 발전 모듈배치 등 |
62회차 | 전압강하 및 전선선정 |
63회차 | 어레이 출력전압특성 |
64회차 | 수변전설비 단면결손도 |
65회차 | 차단기의 용량 선정 |
66회차 | 간선의 허용전류와 보호 |
67회차 | 비정상전압에 대한 분리시간 |
68회차 | 교류측 구성기기 선정 |
69회차 | 변압기 |
70회차 | 보호계전기 |
71회차 | 방법시스템 |
72회차 | 전기시스템 |
73회차 | 내부피뢰시스템 |
74회차 | 독립 접지 시스템 |
75회차 | 접지선의 최소단면적 |
76회차 | 모니터링 시스템 |
77회차 | 태양광발전설계감리 |
78회차 | 감리원의 배치 등 |
79회차 | 태양광발전 착공감리 |
80회차 | 설계도서 작성 |
교재정보
교재명 : 마스터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(태양광) 기사 필기(2022) [출판사: 엔트미디어, ISBN: 9791189728724]
교재비 : 33000원
자격증 소개
신설 <2011.11.23. 고용노동부령 제35호>
신재생에너지 발전소나 모든 건물 및 시설의 신재생에너지발전시스템 인허가,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 시공 및 감독, 신재생에너지발전시스템의 시공,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유지보수 업무 등을 수행합니다.
-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관련시장의 급속한 성장과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이 국내 및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문가 육성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태양광발전 및 관련분야의 취업을 위한 첫 단계이다.
시험일정
시험정보
우편번호 검색x