교육기간 | 차시 | 교강사 | 정원 |
---|---|---|---|
1개월 | 38H - 초급 | 첨삭 | 10,000명 |
교육비 표준훈련비 |
90,000원 90,000원 |
환급비 |
우선지원기업 : 0원 대 기 업 : 0원 1000명 이상 : 0원 |
수료기준 | |||
진도율 | 중간평가 | 시험 | 과제 |
100%이상 | - | - | - |
NCS코드
과정소개
학습대상
학습목표
강사정보
교강사 소개
내용전문가 소개
박용선(메인에듀)학습목차
회차 | 내용 |
---|---|
1회차 |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과정 OT |
2회차 | Ⅰ한국사의 시작 제1편 선사시대의 문화 제1장 역사의 의미 ~ 제2장 선사시대의 전개 |
3회차 | Ⅰ한국사의 시작 제2편 국가의 형성 제1장 청동기와 철기 문화 ~ 제2장 고조선 |
4회차 | Ⅰ한국사의 시작 제2편 제3장 여러 나라의 성장 ~ Ⅱ 한국 고대사 제1편 고대의 정치 제1장 고대국가의 성립과 발전 1 |
5회차 | Ⅱ 한국 고대사 제1편 고대의 정치 제1장 고대국가의 성립과 발전 2 ~ 제2장 삼국의 통치 체제 |
6회차 | Ⅱ 한국 고대사 제1편 고대의 정치 제3장 삼국의 대외관계와 삼국통일 ~ 제4장 남·북국시대의 정치 |
7회차 | Ⅱ 한국 고대사 제2편 고대의 경제 ~ 제3편 고대의 사회 |
8회차 | Ⅱ 한국 고대사 제4편 고대의 문화 제1장 학문의 발달 ~ 제2장 종교와 사상의 발달 |
9회차 | Ⅱ 한국 고대사 제4편 고대의 문화 제3장 과학기술의 발달 ~ 제5장 일본으로 건너간 문화 |
10회차 | Ⅲ 한국 중세사 제1편 중세의 정치 제1장 중세 사회의 성립 ~ 제2장 중세 사회의 전개 |
11회차 | Ⅲ 한국 중세사 제1편 중세의 정치 제3장 통치 체제의 정비 |
12회차 | Ⅲ 한국 중세사 제1편 중세의 정치 제4장 문벌귀족사회 성립과 동요 ~ 제5장 대외관계의 변화 1 |
13회차 | Ⅲ 한국 중세사 제1편 중세의 정치 제5장 대외관계의 변화 2 |
14회차 | Ⅲ 한국 중세사 제2편 중세의 경제 제1장 경제 정책 ~ 제2장 경제 활동 |
15회차 | Ⅲ 한국 중세사 제3편 중세의 사회 제1장 고려사회의 구조 ~ 제2장 백성들의 생활 모습 |
16회차 | Ⅲ 한국 중세사 제4편 중세의 문화 제1장 유학과 역사서 ~ 제3장 귀족 문화의 발달 |
17회차 | Ⅳ 한국근대사 제1편 근세의 정치 제1장 근세사회의 성립과 전개 ~ 제2장 통치 체제의 정비 1 |
18회차 | Ⅳ 한국근대사 제1편 근세의 정치 제2장 통치 체제의 정비 2 ~ 제3장 사림의 대두와 붕당정치 1 |
19회차 | Ⅳ 한국근대사 제1편 근세의 정치 제3장 사림의 대두와 붕당정치 2 |
20회차 | Ⅳ 한국근대사 제1편 근세의 정치 제4장 조선 전기의 대외관계 1 |
21회차 | Ⅳ 한국근대사 제1편 근세의 정치 제4장 조선 전기의 대외관계 2 |
22회차 | Ⅳ 한국근대사 제2편 근세의 경제 제1장 경제 정책 ~ 제2장 경제 생활 |
23회차 | Ⅳ 한국근대사 제3편 근세의 사회 ~ 제4편 근세의 문화 제1장 민족 문화의 발달 |
24회차 | Ⅳ 한국근대사 제4편 근세의 문화 제1장 민족 문화의 발달 ~ 제5장 문학과 예술의 발달 |
25회차 | Ⅴ 한국 근대사(태동기) 제1편 정치 상황의 변동 제1장 통치 체제의 변화 ~ 제3장 세도 정치의 시작 |
26회차 | Ⅴ 한국 근대사(태동기) 제2편 경제 상황의 변동 제1장 수취 체제의 개편 |
27회차 | Ⅴ 한국 근대사(태동기) 제2편 경제 상황의 변동 제2장 서민 경제의 발전 |
28회차 | Ⅴ 한국 근대사(태동기) 제3편 사회의 변동 제1장 사회 구조의 변동 ~ 제2장 사회 변혁의 사상적 움직임 |
29회차 | Ⅴ 한국 근대사(태동기) 제4편 문화의 새 기운 제1장 사상계의 새로운 동향 ~ 제3장 문화의 새 경향 |
30회차 | Ⅵ 한국 근대사(발전기) 제1편 개화와 주권 수호 운동 제1장 개항과 개화 정책 1 |
31회차 | Ⅵ 한국 근대사(발전기) 제1편 개화와 주권 수호 운동 제1장 개항과 개화 정책 2 |
32회차 | Ⅵ 한국 근대사(발전기) 제1편 개화와 주권 수호 운동 제1장 개항과 개화 정책 3 ~제2장 주권 수호 운동 |
33회차 | Ⅵ 한국 근대사(발전기) 제2편 개항 이후 경제와 사회 ~ 제3편 개항 이후의 문화 |
34회차 | Ⅶ 민족의 독립 운동 제1편 일제의 침략과 민족의 시련 제1장 국권의 피탈 ~ 제3장 식민지 경제 정책 |
35회차 | Ⅶ 민족의 독립 운동 제2편 독립 운동의 전개 제1장 1910년대 항일 운동 ~ 제2장 대한민국 임시 정부 |
36회차 | Ⅶ 민족의 독립 운동 제2편 독립 운동의 전개 제3장 항일 학생 운동의 전개 ~ 제4장 1920~1940년대 항일 독립전쟁 |
37회차 | Ⅶ 민족의 독립 운동 제3편 사회·경제적 민족 운동 ~ 제4편 민족 문화 수호 운동 |
38회차 | Ⅷ 현대 사회의 전개 제1편 현대의 정치 변동 ~ 제3편 현대 문화의 동향 |
교재정보
교재명 :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한권으로 끝내기 [출판사:메인에듀 / 저자:박용선] ※ 고급과정 동일 교재
교재비 : 28000원
자격증 소개
(1) 자격분류 : 국가자격
(2) 시행기관 : 국사편찬위원회
(3) 응시자격 : 제한 없음
(4) 홈페이지 : historyexam.go.kr
(1) 한국사능력검정시험
①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란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시행하는 한국사의 학습능력을 인증하는 시험을 말한다.
②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한 나라의 국민으로서 가져야 하는 기본적인 역사적 소양을 측정하고, 역사에 대한 전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시험이다.
(2) 자격 특징
①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한국사에 관한 유일한 국가자격 시험으로, 우리나라 역사에 관한 자료를 조사 · 연구 · 편찬하는 국사편찬위원회가 주관하고 시행한다.
②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합격의 당락을 결정하는 선발시험의 성격이 아니라, 한국사의 학습 능력을 인증하는 시험이다.
③ 2020년에 시행되는 47회 시험부터 시험 종류와 평가등급이 개편된다. 초급, 중급, 고급 3단계 구분이 폐지되고 기본 · 심화시험으로 단순화 된다.
시험일정
시험정보
(1) 응시자격 : 연령, 학력, 성별 등의 제한이 없다.
(2) 평가방법
시험종류 | 심화 | 기본 |
---|---|---|
인증등급 | 1급(80점 이상) | 4급(80점 이상) |
2급(70 ~ 79점) | 5급(70 ~ 79점) | |
3급(60 ~ 69점) | 6급(60 ~ 69점) | |
문항 수 | 50문항(5지 택1형) | 50문항(4지 택1형) |
※ 급수별 합격 점수에 따라 인증 등급이 달라진다.
(3) 배점 : 100점 만점에 문항별 1점~3점 차등배점
(1) 5급 국가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및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: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급 이상 합격자에 한해 인사혁신처에서 시행하는 5급 국가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및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된다.
(2)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선발시험 :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급 이상 합격자에 한해 인사혁신처에서 시행하는 지역인재 7급 수습직원 선발시험에 추천 자격요건이 부여된다.
(3) 교원임용시험 :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이상 합격자에 한해 교원임용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된다.
(4) 국비 유학생, 해외파견 공무원, 이공계 전문연구요원(병역) 선발시험 :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이상으로 국비 유학생, 해외파견 공무원, 이공계 전문연구요원(병역) 선발 시 ‘국사’시험을 대체하고 있다.
(5) 군무원 시험과목 : 2018년부터 군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과목인 ‘국사’를 ‘한국사능력검정시험’으로 대체한다. 유효기간은 군무원 시험 예정일부터 역산하여 3년이 되는 해의 1월 1일 이후에 실시된 시험 성적으로 한다.
군무원 응시계급별 기준 | 5급 응시 | 7급 응시 | 9급 응시 |
---|---|---|---|
한국사능력검정시험 인증등급 | 2급 이상 | 3급 이상 | 4급 이상 |
(6) 연구사 및 지도사 시험과목 : 연구사 및 지도사 공채시험 과목인 ‘한국사’는 지방직은 2021년부터, 국가직은 2022년부터 한국사능력검정시험(2급 이상)으로 대체된다.
(7) 7급 공무원 시험과목 : 2021년 7급 공무원 공채시험에서 기본과목 중 하나인 ‘국사’가 한국사능력시험 2급으로 대체된다.
우편번호 검색x